숫자
숫자의 종류
- 정수(integer): 소주점이 없는 숫자를 정수형이라 한다. (예시) 0, 1, 231, -12
- 실수(floating point):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실수형이라 한다. (예시) 0.0, 23.124, -3.4
이때 주의할 점은 0은 소수점이 없는 숫자이고 0.0은 소수점이 있는 숫자라는 것이다.
같은 크기를 나타낸다 해도 소수점이 있냐 없냐에 따라서 숫자의 자료형이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사칙 연산자: +, -, *, /
- 가장 기본적으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과 같은 사칙 연산자를 생각한다.

- 정수 나누기 연산자(//): 숫자를 나누고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를 떼어 버린 후 몫만 나타낸다. 쉽게 말하면 3/2는 1.5를 계산 하지만 3//2는 1.5에서 소수점을 뗀 1 만 결과로 나타낸다.
- 나머지 연산자(%): A를 B로 나누었을 때 남은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다.

- 제곱 연산자(**): 파이썬에서 숫자를 제곱하는 연산자다. 쉽게 말해서 수학에서 사용하는 제곱이라 생각하면 된다.
print("2 ** 1 =", 2 ** 1)
2 ** 1 = 2
print("2 ** 2 =", 2 ** 2)
2 ** 2 = 4
print("2 ** 3 =", 2 ** 3)
2 ** 3 = 8
print("2 ** 4 =", 2 ** 4)
2 ** 4 = 16
- 연산자의 우선순위: 사칙 연산자에도 수학처럼 우선순위에 따라 계산된다.

- 숫자를 계산할 때는 곱셈과 나눗셈이 덧셈과 뺄셈보다 우선이다. 따라서 3*2가 먼저 실행되고 이후에 5를 더하게 된다. 그래서 결과는 11이 나온다. 만약 (5 + 3) * 2 면 괄호가 감싸고 있는 5+3이 우선 순위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