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과 문자열
자료형과 기본 자료형
파이썬은 개발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과 역할에 따라서 자료를 구분하는데 이렇게 구분된 종류를 '자료형' 이라고 부른다.
문자열: 메일 제목, 메세지 내용등을 말한다. (예시) "안녕하세요". "Hello World"
숫자: 물건의 가격, 학생의 성적등을 말한다. (예시) 52, 275. 123.34
불(bool): 친구의 로그인 상태등을 말한다. (예시) True(참), False(거짓) 만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 타입
파이썬에서 자료의 형식을 확일할 때는 True() 함수를 사용한다.
문자열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글자들이 열로 나열된 것을 문자열(string) 이라고 부른다. 쉽게 말하면 문자들이 열처럼 나열 되어있다~ 라고 생각하면 된다.
- 이스케이프 문자는 역슬래시(\) 기호와 함께 조합해서 사용하는 특수 문자이다.
\" : 큰 따옴표를 의미
\' : 작은 따옴표를 의미
\n : 줄바꿈을 의미
\t : 탭을 의미
\\ : 역슬래시(\)
문자열 연결 연산자: +
- 문자열에는 +연산자로 문자열 연결 연산을 적용할 수 있다.
- 숫자 더하기 연산자와 문자 연결 연산자는 서로 같은 기호를 사용 하지만 내부적으로 완전 다른 수행을 하는 연산자다.
문자열 반복 연산자: *
문자 선택 연산자(인덱스): [ ]
- 문자 선택 연산자는 문자열 내부의 문자 하나를 선택하는 연산자인 대괄호[ ] 안에 선택할 문자의 위치를 지정하며 이 숫자를 인덱스(index)라고 부른다.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슬라이싱): [:]
- 문자열의 특정 범위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다
예를 들어 문자열에서 첫 번째 문자부터 세 번째 문자까지 선택한다든지 두 번째 문자부터 끝까지 선택 한다든지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다. 범위는 대괄호[ ] 안에 위치를 콜론(:)으로 구분해서 지정한다.
Hello = "안녕하세요"
print(Hello[0:2])
안녕
print(Hello[1:3])
녕하
print(Hello[2:4])
하세
-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0:2]라고 입력하면 뒤에 숫자 2번째까지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뒤에 숫자 -1번째까지 선택이 되므로 [0:2]는 0번째 글자부터 1번째 글까지 선택하는 것이다.
-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는 대괄호[ ] 안에 넣은 숫자 둘 중 하나를 생략하여 아래와 같은 형태로도 사용 할 수 있다.
[1:]
[:3]
[1:]의 경우 뒤에 값을 생략했기 때문에 1번째부터 끝의 문자까지선택하고 [:3]의 경우는 앞의 값을 생략했기 때문에 0번째부터 뒤에 3번째 앞의 문자까지 선택한다. 이처럼 [ ] 연산자를 이용해 문자열의 특정 위치에 있는 문자를 잠조하는 것을 인덱싱(indexing)이라 하고 [:]연산자를 이용해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는 것을 슬라이싱(slicing)이라 한다.
문자열의 길이 구하기
-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때는 len() 함수를 사용한다. 괄호 내부에 문자열을 넣으면 문자열에 들어있는 문자의 개수(=문자열의 길이)를 세어준다.
print(len("안녕하세요"))
5
type()
- 자료형을 확인하는 함수이다.
len()
-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