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복습
·
Python
GUI와 CLI 차이MySQL Workbench같은 그래픽으로 보이는 프로그램이 GUI터미널처럼 글자로만 하는게 CLI파이썬으로 할 수 없는 일시스템과 밀접한 프로그래밍 영역윈도우라는 운영체제를 만들고 싶다라고 한다면 파이썬은 맞지 않다. 이유는 파이썬이 인터프리터 언어 이기도 하고 고급언어 저급언어로 나뉠수 있는데 고급언어라면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그런 언어이고 저급언어라고 한다면 정말 기계와 밀접한 시스템을 만드는 언어이다. 따라서 파이썬은 고급언어에 가깝다모바일 프로그래밍파이썬은 모바일 앱을 만들더라도 백엔드 즉 서버에서 처리하는것들이 필요할때 그럴때 파이썬을 사용한다.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만들때는 적합하지 않다 (javascript - ReactNative, Dart - Flutter)을 주로 사..
06-1. 모둘, 패키지
·
Python
모듈모듈이란 여러 관련 기능(함수, 변수, 클래스등)을 하나로 묶어 둔 파이썬 파일이다. 쉽게 말해 여러 기능을 담은 파이썬 파일을 프로그램에서 불러와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을 할 때 많은 모듈을 사용하는데 다른 사람들이 이미 만들어 놓은 모듈을 사용할 수 있고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import 모듈이름#예시import math #math 모듈울 불러오기print(math.sqrt(16))이렇게 import만 사용하면 모듈의 기능을 전부 가져 오는거고 from 모듈이름 import 함수이름, 변수이름#예시from math import sqrtprint(sqrt(25))앞에 from을 사용하면 모듈의 전체 기능을 가져 오는 것이 아니라 특정 함수, 클래스, 변수를 ..
05-1. 클래스
·
Python
클래스와 객체클래스를 가장 쉽게 설명해 주는 예시를 살펴보면 붕어빵 틀과 이걸 이용해서 만든 붕어빵이다.붕어빵 틀 = 클래스붕어빵 = 객체클래스는 이렇게 만들 거라는 설계도이고 그 설계도로 실제로 만들어낸 결과물들이 객체이다. 라고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각각의 객체 속성은 두 가지가 있다 값(숫자, 문자가 저장되는)과 행동을 가지고 있다. 쉽게 말해서 변수는 값이고 행동은 메서드 이걸 찍어 내는 건 클래스다.class Fishbun: # 클래스 정의 pass # 클래스 내용은 비워둠 (기본만 작성)# 클래스를 이용해 객체 생성팥붕어빵 = Fishbun() # 객체1슈크림붕어빵 = Fishbun() # 객체2클래스라는 예약어를 먼저 쓴다 함수는 def하고 함수 이름을 적어줬으면 클래스는 cl..
04-1. 함수
·
Python
함수함수를 설명할 때 이런식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커피를 만든다 했을 때 커피 머신에다 갈아 넣고 섞으면 결과로 커피가 나오게 된다. 이런식으로 비유적으로 표현을 할 수 있다. 이제 프로그래핑 에서는 입력이 들어가면 함수에서는 어떠한 처리를 해주고 결과를 내주는 것 이게 함수의 개념이다.함수를 사용하는 이유?프로그램을 기능 단위로 나눠서 작성하면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지고 유지보수 및 재사용이 쉬워진다.함수의 기본 구조def 함수_이름(매개변수): 수행할_문장1 수행할_문장3 ...함수의 구조는 먼저 def라는 예약어라는 지정된 단어가 정해져 있다. def라는 예약어를 쓰고 그다음 함수 이름을 쓰고 괄호 안에 매개변수를 넣어주고 콜론을 입력하고 그 아래 수행할 문장들을 묶어주면 이게 바로 기본 함수의 구조이..
03-3. 반복문
·
Python
범위 자료형과 While 반복문범위리스트, 딕셔너리 외에 for 반복문과 함께 많이 사용되는 범위(range) 자료형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정수로 이루어진 범위를 만들 때는 range() 함수를 사용한다.첫째 매개변수에 숫자를 한 개 넣는 방법0부터 A-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든다. 둘째 매개변수에 숫자를 두 개 넣는 방법A부터 B-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든다 셋째 매개변수에 숫자를 세 개 넣는 방법A부터 B-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드는데 앞뒤에 숫자가 C 만큼의 차이를 가진다.for 반복문: 범위와 함께 사용하기for 반복문과 범위를 조합해서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된다.for 숫자 변수 in 범위: 코드# for 반복문과 범위를 함께 조합해서 사용한다.# 첫 번째 예: 0부터 4까..
03-2. 반복문
·
Python
딕셔너리와 반복문딕셔너리란?리스트(list)가 인덱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이라면 딕셔너리(dictionary)는 키(key)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Key(키): 딕셔너리 내부에서 값에 접근할 때 사용한다.value(값): 딕셔너리 내부에 있는 각각의 내용을 의미한다.딕셔너리 선언하기딕셔너리는 중괄호로 선언하며 키: 값 형태를 쉼표로 연결해서 만든다. 키는 문자열 숫자, 불 등으로 선언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문자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dict_a = { "name": "어벤져스 엔드게임", "type": "히어로 무비" } print(dict_a)# 실행 결과{'name': '어벤져스 엔드게임', 'type': '히어로 무비'}딕셔너리 요소에 접근하기..
03-1. 반복문
·
Python
리스트와 반복문리스트(list)란 뭘까?사전적 의미로 "목록"이라는 뜻을 가진 리스트는 파이썬에서 여러 가지 자료를 한 번에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 숫자, 문자, 논리값 등 여러 자료를 하나로 묶어서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형태의 자료를 말한다. 다음 코드는 여섯개의 자료를 가진 리스트를 선언하는 예시이다. 리스트는 대괄호[] 내부에 여러 종류의 자료를 넣어 선언한다. 선언한 리스트를 출력하면 내부의 자료를 모두 출력할 수 있다.array = [273, 32, 103, "문자열", True, False]print(array)# 실핼 결과[273, 32, 103, '문자열', True, False]리스트 선언하고 요소에 접근하기파이썬에서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대괄호에 자료를 쉼표로..
02-2. 조건문
·
Python
if~else와 elif 구문else 조건문 활용else 구문은 if 조건문 뒤에 사용하며 if 조건문의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이 된다.if 조건: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else: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할 문장조건문이 오로지 두 가지로 만 구분될 때 if, else 구문을 사용하면 조건 비교를 한 번만 하므로 이전의 코드보다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elif 구문elif 구문은 if와 else 사이에 여러 조건을 순차적으로 검사할 때 사용하는 구문이다. "elif"는 "else if"의 줄임말로 여러 가지 경우를 하나씩 순서대로 확인하여 조건에 맞는 코드 블록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if 조건A: 조선A가 참일 때 실행할 문장elif 조건B: 조건B가 참일 때 실행할 문장eli..
02-1. 조건문
·
Python
불 자료형과 if 조건문BooleanBoolean은 불린, 또는 불리언이라는 발음으로 부른다.불은 오직 True(참)와 False(거짓) 값만 가질 수 있다.print(True)Trueprint(False)False불 만들기: 비교연산자불은 비교 연산자를 통해 만들 수 있다.비교 연산자는 숫자 또는 문자열에 적용할 수 있다.논리 연산자not 연산자not 연산자는 단향 연산자로 참과 거짓을 반대로 바꿀 때 사용한다. not 연산자는 주로 "아니다"라는 뜻으로 사용이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조건이 맞지 않을 때를 확인할 때 쓴다.#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유효하지 않을 때if not is_valid: print("유효하지 않은 입력입니다.")# 일이 끝나지 않았을 때 계속 작업을 할 때if not is_fin..
01-4. 자료형
·
Python
숫자와 문자열의 다양한 기능문자열의 format() 함수format 함수는 문자열이 가지고 있는 함수 이다. 이 함수를 이용하면 숫자와 문자열을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중괄호{}를 포함한 문자열 뒤에 마침표를 찍고 format 함수를 사용하는데 중괄호의 개수와 format 함수 괄호 안 매개변수는 반드시 같아야 한다. 중괄호 기호의 개수가 format 함수의 매개변수 개수보다 많으면 IndexError가 발생한다."{}".format(10)"{} {}".format(10, 20)"{} {} {} {} {}".format(101, 202, 303, 404, 505)이러한 형태로 함수를 사용하면 앞쪽에 있는 문자열의 중괄호 기호가 format 함수  괄호 안에 있는 매개변수로 차례대로 대치되면서 숫자..